백화골 푸른밥상

울주군 두서면 내와길187/010-2375-0748(박정선), 010-2336-0748(조계환)/유기농인증번호 : 07100003

분류 전체보기 692

농사 준비, 유기농 자재 만들기(2005년 2, 3월)

집 짓는 동안 마을 의준이네 사랑채에서 지내며 농사 준비를 시작했다. 장수는 해발 450m 이상 지역으로 3월에도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가는 날이 많았고 눈이 많이 내렸다. 3월의 폭설... 토착 미생물 만들기. 유기농으로 농사 짓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땅에 미생물들이 살아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부엽토가 많은 곳에서 채취하는 토착 미생물은 가장 좋은 땅 살리기 재료라고. 마을 뒷산 백화산 골짜기에서 토착미생물을 채취(한 번의 실패 끝에)하여 활용했다. - 제조 방법 : 부엽토가 많은 지역에 고두밥(양파망에 포장)을 넣은 후 묻어주고, 1주일 정도 후에 채취한다. 채취한 토착미생물을 흑설탕과 1:1로 1차 배양 한 후 1주일 후에 원액을 500배 희석해서 쌀겨와 버무린 뒤 보온덮..

전북 장수군으로 귀농, 집 짓기(2005년 2, 3월)

세달간의 귀농지 찾기 끝에 2005년 2월17일 서울에서 전라북도 장수군으로 이사했다. 장수로 귀농한 가장 큰 이유는 '저개발 지역'이라는 점. 유명 관광지도 공업단지도 없고, 앞으로도 개발될 가능성이 적어 보여서였다. 귀농지 찾기는 쉽지 않은 여정이었다. 농업기술센터를 찾아가보기도 하고, 마음에 드는 지역 면사무소를 찾아가 각 마을 이장 연락처를 알아내 한분 한분 찾아가보기도 하고... 주로 관공서를 중심으로 귀농지를 찾아다녔다. 시골에 특별한 연고나 인맥이 없어서 선택한 방법이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관공서를 찾아가 귀농 정보를 얻고 도움을 받는 것도 좋지만 농촌에 살아보니 가장 좋은 귀농지 찾기 방법은 일단 연고를 만드는 일인 것 같다. 우리가 선택한 마을은 귀농자들이 농촌에서 정착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