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골 푸른밥상

울주군 두서면 내와길187/010-2375-0748(박정선), 010-2336-0748(조계환)/유기농인증번호 : 07100003

농부의 하루/2017년~2022년

도시 여자, 농부가 되다

백화골 2019. 5. 21. 06:14

백화골 농부의 하루

도시 여자, 농부가 되다

 

 

 

 

*‘백화골 농부의 하루는 농장에 와서 일손을 돕는 봉사자 농부의 글도 싣습니다. 이번에는 4월에 와서 3주 정도 머물렀던 주디(Judith Weeteling)의 이야기입니다. 네델란드에서 고등학교 생물 교사로 일하는 주디는 장기 휴가를 얻어서 한국을 여행하고 있습니다. 전기 울타리 설치 및 비닐멀칭, 다양한 작물 파종 등의 농사 일을 함께 했습니다(편집자 주).

 

 

 

 

 

 

Every city girl has this romantic fantasy about farming in the backcountry. And if you look at the pictures it still looks like the colourful instagram reality that everybody imagined it would be. But farming is more than pink trees blooming on the hill, sunny days and all kinds of plant perfumes up in the air. Especially organic farming askes more awereness about what you’re doing and why.

 

보통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시골에서 농사짓는 것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있다. 사진만 본다면 다채로운 인스타그램 속 삶 같다. 하지만 농사는 어느 여름날 분홍 꽃나무가 꽃망울을 터뜨리고, 꽃내음이 바람을 타고 흩날리는 것 이상이다. 특히 유기농 농사는 더더욱 우리가 뭘 하고 있는지, 왜 하고 있는지에 대해 자각하게 만든다.

 

During one of my first days I helped smashing a whole line of poles into the ground against the (water) deer that are roaming these hills. A laborious work, that could be managed by spraying pesticides over the crops. But pesticides kill, just like antibiotics, without being discriminating. It kills more that just the unwanted mites on your tomatoes, it’ll kill the life inside the ground.

There is this beautiful ecosystem that most people forget about because they can not see it. Like your own gut flora: multiple bacteria, yeasts and other micro-organisms live in an equilibrium; digesting the food you can’t, keeping bad ‘bugs’ out, regulating insulin and keeping your immunsystem in check are a couple of the wonderes things it can do. When you take (multiple times) antibiotics you can have side effects like problems with going to the toilet but even experience sensitivities to products that you haven’t had before.

 

내가 이곳에 도착한 뒤 첫 며칠은 주변 산에서 방황하는 고라니가 밭에 들어오지 않도록 울타리를 치는 데 필요한 지주대를 박았다. 이 힘든 과정은 실은 작물에 농약을 몇 번 뿌리면 해결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농약은 항생제와 마찬가지로, 무차별적으로 죽인다. 토마토에서 당신이 원하지 않는 벌레나 균을 죽이는 것 이상으로, 땅 속에 있는 모든 생명을 죽인다.

사람들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놓치고 있지만, 정말 아름다운 생태계가 있다. 다양한 박테리아와 효소, 미생물들이 평형을 이루며 살고 있는 장 내부의 풍요로운 세상처럼 말이다. 우리가 소화할 수 없는 음식을 소화하고, 나쁜 벌레들을 내쫒고, 인슐린을 조절하고, 면역체계를 유지하는 건 경이로운 일이다. 만약 (여러 번) 항생제를 먹으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화장실을 들락거리게 되거나, 아니면 예전에는 먹어도 아무 이상이 없던 음식들에 예민한 반응들이 올라온다던가 말이다.

 

 

It goes the same for soil. The micro-organisms surround the roots of the plant and help the plant get it’s nitrate fix and retain water in the ground. But it even helps on a greater scale by binding free CO2 in the ground! In theory, it thus could help with lowering one of the green house gasses that is responsable for our enhanced global warming effect IF we have overall rich in happy micro-organisms soil.

 

땅도 마찬가지이다. 미생물들이 식물 뿌리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식물이 물과 질소를 붙잡고 있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더 넓게 보면 땅속에서 자유로이 떠다니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준다! 이 말은 즉, 이론적으로 봤을 때 만약 우리가 미생물이 풍성한 땅으로 가꾸어 나간다면,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It was a warm day, but with the promise of rain in the air. He was plowing, Jungsun, Lea and I flattening and wrapping plastic over the newly dug rows of soil, all breaking our backs over it. It's work that asks a lot of muscle power. Especially now, before the rain when the earth is hard and every clump of earth feels like hitting a rock. But when de planting starts I do notice the soft crumbly earth beneath my fingers. One of my teachers once said: “Healthy soil has a sent!”, and it does. It smells kind of tart sweet, a rich rind of scent. Nothing like some soil, where you can smell the acrid leftovers of fertilizers and decay.

But the sitting job of planting and weeding is not only accompanied by those sweet smells. Especially with my height, I feel all kinds of uneasy. Like the burning sensation of overstretched back muscles and knee tendons during the first week.

 

날씨는 따뜻했지만 비가 올 것 같았다. 조는 골을 타고 정선과 레아와 나는 비닐 멀칭을 했다. 이 일은 힘이 많이 필요한 일이었다. 특히 비가 오기 전이라 땅이 딱딱할 때는 더더욱. 하지만 막상 작물을 심기 시작하자 손가락 아래로 부드럽게 부스러지는 흙이 만져졌다. 예전에 내 선생님 중 한 명이 건강한 흙은 향기가 난다고 말한 적이 있다. 흙에서는 정말 달콤하고 풍부한 냄새가 난다.

하지만 쭈그리고 앉아서 심거나 잡초 뽑기를 할 때 달콤한 냄새만 맡을 수 있는 건 아니다. 특히나 나는 키가 크기 때문에 더더욱 힘들었다. 첫 일주일 동안은 등과 무릎이 타는 것처럼 아팠다.

 

Cho and Jungsun work together with a buddhist community and teach them how to grow their own produce organically. I don’t know much about buddhism, but the thing that I do know is the phillosphy of ‘this shall pass too.’. And it does. The pains in my back are actually gone. But the worst feeling is not the physical pains. Physical pain is easy to get over. It’s feeling trapped between the rows of dirt. Bending over, making myself so small that even my energy levels are reacting to it. But I do! Because although my body is not fit to do the smaller jobs between the rows of living soil, I am very capable of doing the heavier jobs like fencing and digging ditches.

 

조와 정선은 불교 공동체와 함께 일하며 유기농으로 농사짓는 법을 가르친다. 나는 불교에 관해 많이 알지 못한다. , '이것도 지나갈 것이다'라는 철학은 알고 있다. 맞는 말이다. 내 등의 통증은 실제로 사라졌다. 그러나 가장 힘든 건 육체적 고통이 아니라 좁은 밭고랑 사이에 갇혀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그렇게 쭈그리고 앉아있노라면 나 자신이 점점 작아지면서 그에 따라 에너지도 줄어드는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그래도 해냈다! 비록 앉아서 하는 일은 힘들었지만, 도랑 파기나 울타리 치는 일 같은 것은 아주 잘 해낼 수 있었다.

 

 

For me these weeks were not the easiest. I came here to broaden my horizon, to feel how it is to do laborious work days on end. I had to analyze these feelings of unease and I’m happy I got to.

I’m thankful I got to be a part of one the most basic principles of life: producing sustenance for the community

 

이 몇 주 동안은 나에게 쉽지 않은 시간들이었다. 나는 삶의 지평선을 넓히고, 힘든 육체노동을 경험해보기 위해 이곳에 왔다. 고된 일을 할 때 어떤 느낌인지 충분히 알 수 있었고, 그래서 행복하다. 삶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생산적인 일을 하는 데 일조했다는 사실에 감사한다.

 

 

/사진 : 쥬디(Judith Weeteling)

번역 : 한혜련

편집 : 박정선